• Home
  • About
    • 최정재 photo

      최정재

      창의적인 시각으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개발의 모험가

    • Learn More
    • Email
    • Instagram
    • Github
    • Youtube
  • Posts
    • All Posts
    • All Tags
    • All Categories
  • Projects

[한국사] 61회 오답노트

14 May 2024

Reading time ~2 minutes

5번

  • 화쟁사상, 무애가, 금강삼매경론 : 원효
  • 왕오천축국전 : 혜초
  • 황룡사 구층 목탑 건의 : 자장
  • 걸사표 : 원광
  • 해동고승전 : 각훈

8번

  • 거칠부가 국사 편찬 : 진흥왕
  • 우산국 정복 : 지증왕
  • 관료전 지급, 녹읍 폐지 : 신문왕
  • 원종과 애노의 난 : 진성여왕
  • 이차돈 : 법흥왕
  • 김헌창의 난 : 헌덕왕

10번

발해

  • 무왕 : 연호 인안, 흑수말갈 공격, 장문휴 보내 등주 공격
  • 문왕 : 3성6부, 신라도, 상경 천도
  • 선왕 : 5경 15부 62주, 해동성국

오답

  • 9서당 10정 : 통일신라 신문왕
  • 사비 천도 : 백제 성왕
  • 외사정 파견 : 신라 문무왕
  • 고구려 유민 동모산 : 발해 대조영

13번

  • 강조의 정변 : 김치양 제거, 목종 폐위 1009,거란 2차침입 계기
  • 김보당이 의종 복위 주장, 동계에서 군사 일으킴 : 명종 1173년 (김보당의 난)
  • 조위총이 정중부 등 제거 도모 : 고려 명종 1174년
  • 최충헌 왕 협박 : 명종 폐하고 1197 , 왕민을 왕(신종)
  • 만적의 난 : 신종 1198
  • 최의를 죽인뒤 : 최씨 무신 정권 막을 내림
  • 삼별초 : 고려 원종때 몽골항쟁

22번

  • 조선 언론 활동, 풍속 교정 등 관장하는 기구 : 사헌부
  • 업무일지인 내각일력을 작성 “ 규장각(1776, 정조)
  • 고려의 삼사와 같은 기능 : 조선의 호조(화폐,곡식의 출납 회계)
  • 은대, 후원이라 불림 : 승정원(왕 출납 관장)
  • 5품 이하의 관리 임명에 대한 서경권 : 사헌부

23번

  • 기름 먹인 장막 맘대로 씀 : 경신환국(숙종, 1680)
  • 송시열 : 기사환국(숙종, 1689)
  • 장씨 희빈으로 축출 : 갑술환국(숙종, 1694)

24번

  • 강도일기, 봉림대군, 인평 대군 강화로 이동, 국왕, 세자,국왕은 길막혀 남한산성 피난 : 병자호란
  • 정문부가 의병 : 임진왜란
  • 사르후 전투 : 광해군
  • 김시민 진주성 : 임진왜란
  • 임경업이 백마산성 : 병자호란
  • 최윤덕이 올라산성에서 이만주 부대 정벌 : 세종 1433(4군 설치)

29번

  • 삼국사기 : 유교 사관에 입각해 기전체, 삼국의 내용 뛰어난 역사서 물려주려함
  • 삼국유사 : 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설화등 수록
  • 조선왕조실록 : 사초와 시정기 바탕으로 실록청에 편찬
  • 동국통감 : 고조선~고려까지 역사를 편년체로 정리

34번

  • 한힌샘, 주보따리, 독립신문사의 교보원 : 주시경(1876~1914)
  • 국문 연구소 연구위원 : 주시경 국문법 정리(1907)
  • 조선어학회 사건 : 1942.10
  • 한국 통사 집필 : 박은식(1915.6)
  • 세계지리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한글로 : 헐버트
  • 여유당전서 간행, 좃너학 운동 : 정인보, 안재홍

40번

  • 삼권분립에 기초, 상하이 에서 이동 : 임시정부
  • 만세보 발행 : 천도교
  • 신흥 강습소 : 서간도 지역
  • 구미 위원부 조직 : 임시정부
  • 교통국 설치 : 임시정부

42번

  • 단군 숭배 사상을 통해 민족의식 업 : 대종교
  • 의민단 조직해 무단 투쟁 : 천주교
  • 간척 사업, 새생활 운동 : 원불교
  • 배재 학당을 세워 신학문 보급 : 개신교
  • 어린이날 제정 : 천도교

47번

  • 3선 개헌 : 박정희 (1969)
  • 내각 책임제 형태 정부 출범: 1960.8~1961.5
  • 경향신문 폐간 : 이승만 (1959.4)
  • 최고 통치 기구인 국가 재건 최고 회의 구성 : 박정희 5.16군사 정변 직후(1961.5)
  • 진보당의 조봉암등 구속 : 이승만 (1958.1)
  • 유신 헌법 : 박정희(1972.10)



한국사 Share Tweet +1